임상 미생물학 문제 및 풀이
머리말
최근 의학, 보건, 간호학계에 가장 큰 변화는 교과목별 학습목표가 표준화되고, 문제 유형이 바뀌면 서 문제를 출제하는 교수님들이나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 라, 분류 방법에 따른 일부 미생물 학명의 변화가 있어 본서 출판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본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역점을 두고 편집하였다.
1. 문제유형은 국시원의 방침에 따라 A형으로 만들어 새로운 문제유형에 적응하도록 하였으며, 장마 다 끝에 2차 시험 실기문제를 수록하였다. 2. 학생들이 정규 교과과정을 공부하면서 이해하기 곤란한 문제는 문제해설을 보고 자습하면서 국가 고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최근에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한 관심도나 바이러스의 새로운 분류체계를 생각하여 이에 대한 문 제를 많이 다루었고, 또한 미생물 동정에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어서 임상분자생 물학에 관한 문제도 다루었다. 4. 세균의 분리와 동정 못지않게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한 메커니즘, 항생제 내성 경향 등 항생제 감 수성 검사에 관한 제반 사항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문제 도 많이 다루었다. 5. 세균의 동정을 위한 생화학적 시험 문제에서는 IMViC 시험을 시작으로 시험문제의 답가지에 시 험원리 및 방법을 되도록 차례대로 쓰고 맞는 답만 찾아냄으로써 학생들이 시험원리와 방법을 잘 정리하여 익히도록 하였다. 6. 임상적으로 중요한 진균과 기생충의 분리와 동정에서도 교과과정의 순서에 따라 진균과 기생충의 동정을 위한 검체, 배지선택, 중요한 형태적 특성, 유사점과 감별점을 찾고, 학생들이 정리하여 잘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본서가 나오기까지 조언과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각 분야별 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수고해 주신 고려의학 최병진 사장님과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20. 4 한국 임상병리학과 임상미생물학 교수일동
차례
1편 임상미생물학 총론
01. 총론 3
02. 실기문제 30
2편 임상세균학
01. Staphylococcus와 Micrococcus 37
02.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43
03. Streptococcus pneumoniae 50
04. Neisseria와 Moraxella catarrhalis 54
05. 실기문제 58
06. Bacillus 75
07. Corynebacterium 77
08. Listeria와 Erysipelothrix 79
09. Actinomycetes (Actinomyces, Norcardia, Streptomyces) 81
10. Mycobacterium 83
11. 실기문제 87
12.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의 일반적인 특성 96
13. Salmonella와 Shigella 98
14. Yersinia 103
15. 실기문제 105
16. 기회감염 장내세균 113
17. 실기문제 124
18. Proteus 균족 130
19. Vibrio 균과 133
20. GNFB 139
21. 실기문제 143
22. Haemophilus 150
23. 실기문제 154
24. Bordetella 158
25. Legionella 160
26. 실기문제 162
27. Brucella 164
28. Francisella 166
29. Pasteurella 167
30. 그 외 Gram Negative Bacilli 168
31. 실기문제 169
32. 무산소성 세균(Anaerobes) 170
33. Clostridium 174
34. Bacteroides 181
35. Campylobacter 184
36. Helicobacter 187
37. Spirochaeta (Treponema, Borrelia, Leptospira) 190
38. Mycoplasma, Rickettsia, Chlamydia 194
3편 바이러스학
01. 진단 바이러스학 201
02. 외피 비보유 DNA 바이러스 208
03. 외피 보유 DNA 바이러스 209
04. 외피 비보유 RNA 바이러스 212
05. 외피 보유 RNA 바이러스 214
06. 바이러스의 실험실 진단 218
07. 종합문제 219
08. 실기문제 228
4편 임상진균학
01. 총론 251
02. 진균의 형태와 생식 253
03. 진균의 분류 255
04. 진균 감염증 257
05. 피부 진균증 258
06. 피하 진균증 261
07. 전신성 진균증 262
08. 기회감염 진균증 264
09. 효모 및 효모양 진균 266
10. 진균의 배양과 동정 267
11. 종합문제 271
12. 실기문제 279
5편 인체 기생충학
01. 총론 305
02. 원충류 307
03. 선충류 312
04. 흡충류 316
05. 조충류 319
06. 실습관련 문제 323
07. 종합문제 326
08. 실기문제 332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