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머 리 말
인간의 건강과 질병을 다루는 의학이 나날이 세분화, 전문화되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의료인이 숙지하여야할 지식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소화기학도 내시경과 같은 첨단 의료기기의 발달, Helicobacter pylori와 같은 새로운 병인성 인자의 발견, 말기 간질환의 치료로 간이식이 도입되는 등 최근 10년 간 학문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빠른 지식의 변화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활발한 학술 활동과 각종 소화기 관련 서적의 출판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처음 소화기학을 접하는 의과대학 학생, 수련의, 전공의 및 일반인 뿐만 아니라 소화기학에 관련된 최신지견을 단기간에 습득하고자 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최신의 소화기 질환을 체계적으로 다룬 교과서는 드문 실정입니다. 본 교실에서는 이점을 늘 안타깝게 여기던 중 본 대학의 “소화기학 계통별 강의”에 참여하신 순천향의대 이외 가톨릭의대, 고려의대, 서울의대, 아주의대, 연세의대, 울산의대, 중문의대, 한양의대 등 여러 대학의 교수님들의 강의록을 정리하고 내용을 보완, 추가하면서 한 권의 책으로 출판할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본 “소화기학”교과서에서는 강의중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부분까지 보완하여 다루었으며 내과를 중심으로 외과, 소아과 등의 임상과목 이외에도 기초의학까지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의 특징으로는 첫째, 소화기 질환에 대해서 관련 장기의 해부, 생리에서부터 내과 및 외과적 치료까지, 신생아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다루었습니다. 둘째, 본문의 내용은 공인된 우리말 용어를 이용하여 기술하고자 노력하였고, 드물게 사용되어 친숙하지 않은 용어인 경우 괄호안에 해당하는 영어 용어를 추가하여 처음 공부하는 학생도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우리 글로 된 의학서적을 읽을 때 부딪히게 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이 책에서는 조금이나마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런 노력들을 시도하였지만 부족한 점은 아직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점은 독자이신 여러분의 도움으로 추후 보완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셋째, 각각의 질환에 대하여 전형적인 X선 사진, 내시경 사진을 화보로 삽입하여 독자분들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주로 우리나라에 발병이 높고 문제가 되는 질환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내용을 추가하여 외국의 교과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여러분들께서 공부하는데 있어 “소화기학”이 많은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위하여 여러 차례 원고를 수정하여 주신 집필 교수님들과 편집을 맡아주신 편집교수님 여러분, 그리고 원고 교정에 힘써주신 본 교실의 여러 선생님들께 지면을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끝으로 고려의학의 최병진 사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2000년 2월
편집 책임 교수 심 찬 섭목차개정판에 부쳐 1
머 리 말 2
편집위원 3
집 필 진 4
제 1 장 서 론 11
1. 소화기학 총론 13
2. 소화기 발생과 해부 21
3. 소화기 생리 51
4. 소화관 병리 71
5. 소화기 기생충학 81
6. 임신과 소화기 질환 93
제 2 장 소화기 영상진단 101
7. 위장관 내시경 검사 103
8. 소화관 질환의 영상진단 115
9. 간질환의 방사선학적 진단과 치료 131
10. 췌장질환의 방사선학적 진단 139
제 3 장 구강 및 식도질환 151
11. 구강 및 타액선 질환 153
12. 식도 질환과 식도 종양 159
13. 식도 운동 질환 및 위.식도 역류질환 171
14. 기능성 위장관 질환 및 가능성 소화불량증 187
15. 식도 질환의 외과적 치료 193
제 4 장 위 질환 205
16. 위염과 Helicobacter pylori 207
17. 소화성 궤양 221
18. 위종양 235
19. 위장관 병리 245
20. 소화성 궤양의 수술적 치료 259
21. 위종양의 수술적 치료 273
22. 위.소장 운동 질환 279
제 5 장 소장 및 대장 질환 289
23. 흡수 장애 291
24. 염증성 장질환 307
25. 결핵성 장염 323
26. 게실, 가성폐색, 변비 및 과민성 증후군 329
27. 장폐색증 341
28. 설사 347
29. 식중독 357
30. 충수염 365
31. 소장 및 대장의 종양 373
32. 소장 질환의 수술적 치료 381
33. 대장 질환의 수술적 치료 385
34. 직장 및 항문질환의 수술적 치료 401
제 6 장 기타 소화관 관련 질환 409
35. 장관의 허혈 411
36. 소화관 출혈 427
37. 소화관 출혈의 방사선학적 치료 439
38. 급성복증 443
39. 복부외상 455
40. 복벽 및 장간막 질환 459
41. 탈장 469
제 7 장 간질환 475
42. 간질환 환자의 임상적 접근 477
43. 간기능의 임상검사 487
44. 황달과 빌리루빈 대사 495
45. 간 대사이상 및 대사성 간질환 501
46.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513
47. C형 간염바이러스 529
48. 만성 간염 535
49. 전격성 간부전 543
50. 알코올성 간질환 547
51. 독성 및 약제성 간염 551
52. 자가면역성 간질환 561
53. 간경변증 567
54. 간경변증의 합병증(간성 뇌증) 573
55. 간경변증의 합병증(복수, 간신증후군) 577
56. 간세포암 581
57. 간농양 591
58. 간의 병리 599
59. 문맥압 항진증의 수술적 치료 609
60. 간절제술 615
61. 간이식 627
제 8 장 담도계 질환 639
62. 담즙대사 641
63. 양성 담도계 질환 645
64. 악성 담도계 질환 669
65. 담도계 질환의 방사선학적 진단 679
66. 담도계 질환의 수술적 치료 687
67. 복강경 수술 701
제 9 장 췌장 질환 705
68. 췌장학 총론 707
69. 췌장생리 및 췌장질환 접근법 713
70. 급성 췌장염 723
71. 만성 췌장염 733
72. 췌장암 및 기타 췌장 종양 739
73. 췌장 질환의 수술적 치료 747
제 10 장 소화기 악성 종양의 치료 757
74. 소화기 악성 종양의 항암제 치료 759
75. 소화기 악성 종양의 방사선 치료 765
제 11 장 소아 소화기학 773
76. 소아 소화기 질환 775
77. 신생아 외과학 807
78. 소아 외과학 815
찾아보기
한글 825
영문 838
